♣ 다녀온곳 ♣

강원도 무릉계곡 두타산(100918)

달컴이 2010. 9. 19. 22:26

 

 

청량리역에서 강원도 '동해'도착지,    밤 10시 48분 출발하는 무궁화호를 탑니다.

 

 

 역 대합실에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이벤트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한장.

 

 

 

 

'동해'역 앞 해장국집에서 우연히 만난 택시기사님과 함께 도착한 무릉계곡 삼화사 입구 ( 새벽 5시 15분 )

 

 

 

백곰바위에서

 

 

백곰바위 바로 옆,  투타산성이 시작되는 곳에서

 

 

 

 

 

 

 

산성 12폭포

 

 

해발 1천미터가 넘는 고산에 우람하고 멋진 소나무가 많은 것을 여기서 보았다.

 

 

 

 

 

 

 

두타산 (頭陀山)  : 두타산은 삼척 동해시의 분수령으로 이 두고장을 대표하는 산이며 시민들 마음의

                                                     고향으로 여겨진다.   두타(頭陀)라 함은 인간사의 모든 번뢰를 털어 없애고 물질을 

                                                     탐착하지 않는 맑고 깨끗한 불도를 수행하는 것을 이르는 것으로 산어귀의 삼화사

                                                     천은사의 모산(母山)으로 자리잡고 있다. 두타산은 청옥산 고적대와 함께 해동삼봉

                                                     으로 불리우고 있다.   ( 해발 1353 m 두타산 정상에 있는 안내판에서 )

                                       

 

 

 

 

두타산 정상 표지석 근처에서 우연히 눈에 띈 것  ( 두타산에 가는 분은 보물찾기 하듯 찾아보시길 )

누군가 일부러 먹을 지참 산행하여,   두타산 정상의 헬기장용 불록 한장을 취하여 쓴 것 같음

 

 

 

 

 

 

병풍바위 (무릉계곡에서)

 

 

 

선녀탕이라고 합니다.

 

 

 

 

학소대 ( 鶴巢臺 )라고합니다.

 

 

절경 학소대에서

( 목욕재계하고 등산복을 갈아 입었음 )

 

 

                  동해역전에 새벽 4시 40분경에 내리다.   바로 앞 해장국집,,,한가지 메뉴밖에 안되는 청국장찌게를 먹는데...

                  주인양반,, 두타산 산행하는 것,,우습게 보질말란다.    무릉계곡으로 올라가려고 한다니깐, 그러지 말고 '댓재'

                  즉 삼척방향의 댓재쪽으로 오르면 그래도 좀 수월하단다.  그때  마침, 택시기사님이 우리를 보고 가게에 들어

                  와서는 흥정을 한다. 댓재방향은 2만5천원,  무릉계곡방향은 1만5천원,  셋이서 고민하다가...힘들어도 고다~~!

                  무릉계곡으로 결정했다.    ( 결론은 백곰바위 -> 두타산 -> 박달영 ->장군바위 -> 학소대 -> 원점 주차장 )

 

                  말그대로 좀 힘든 산행이었다. ( 무릉계곡으로해서 박달령으로 오른다면 더욱 힘들었을 것이다 ) 어쩌면 귀경

                  열차시간에 맞추느라  무리가 더 했는지도 모르겠지만,,,초보는 각오를 단단히하고 산행을 해야할 듯.

 

 

두타산 삼화사 ( 頭陀山 三和寺 )에서

 

 

 

삼화사 앞 고목을 그냥 지나치면 섭합니다.

 

 

 

 

무릉반석 ( 武陵盤石 ) : 일,이백명은 족히 앉을 수 있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평평하고 넓다란 무릉반석엔

                                                         옛날에 많은 시인들이 새긴 글자가 보이고, 조선시대 명필 양봉래가 썼다는 글도

                                                         있다고한다.  무덥고 따가운 초가을의 태양을 피하여 자리를 쭉펴고 쉬고 있는 모

                                                         습이 무릉반석에 무릉도원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