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 날짜 :'18년 12월 11일
지은 사람 : 유홍준
옮긴 사람 :
출판한 곳 : 창비
내용 요약 : 북부 규슈 3박 4일, 남부 규슈 2박 3일의 여정이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았다. 나는
여기서 2300년 전 벼농사를 갖고 규슈로 건너와 일본 열도에 야용이시대를 개척해간 조상들의 옛
모습과 임진왜란 때 이곳에 끌려와 결국 일본에 도자기혁명을 일으키고 세계 도자시장을 제패한
우리 도공들과 그 후손의 수고로운 일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663년 백촌강 전투에서 패배한 백제
유민들이 수성과 대야성을 쌓고 나당연합군의 침공에 대비했던 자취도 보았다.
- 책 321쪽 내용 중에 -
끄적 끄적 : 오래전 내 일기장 한 페이지에 써 놓았던 글( 이 책 298쪽에 인용된 공자 말씀 )
子曰 : "知之者, 不如好之者 ; 好之者, 不如樂之者."
자왈 : "지지자, 불여호지자 ; 호지자, 불여락지자."
"아는 사람(것)은 좋아하는 사람(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것)은 즐기는 사람(것)만 못하다."
-《논어(論語)》옹야편(雍也篇)
내용 중에 : '아리타'에 와서 이들의 번성한 도자문화를 보면 나는 은근히 부럽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하고
원망스럼기도 하고 화가 나기도 한다. 우리가 갖고 있던 기술로, 그것도 무명 도공들이 일본에 와서
이렇게 도자기 혁명을 일으킬 때 우린 무얼 하고 있었다는 말인가 하는 역사적의 회환이 느껴지는 것
이다. 그리고 그 대답은 장인匠人을 존중할 줄 알라는 교훈으로 다가온다. 우리는 막연히
생각하기를 일본에 온 도공들은 왜놈들에게 포로로 끌려가 이국땅에서 도자기를 굽는 고된 일에 노예
처럼 사역되었고 고향이 그리워도 영원히 돌아오지 못한 불쌍한 인생이라고 깊은 동정을 보내곤 한다.
그러나 그 실상엔 다른 면이 있었다. 조선에 살 때 이들은 지방가마의 도공으로 천민이었다. 이들은
도자기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농삳사도 지어야 했고 각종역役에 나가 일도 해야만 했다. 하지만
일본에 와서 이들은 도자기 기술자, 즉 장인으로서 대접을 받았다. 그들이 상대한 것은 번주라는 지방
최고통치자들이었다. 가라쓰야키에서는 어용 도자기 선생(御用燒物師)이라고 '선생' 소리를 들었다.
아가노야키의 존해는 5인 가족을 부양할 수 있는 쌀 15석을 녹봉으로 받기로 하고 스카우트되기도 했
다. 사쓰마 번주는 조선 도공에게 사농공상에서 사士, 일본의 사무라이(侍)와 같은 신분을 제공했다.
국내에서는 도저히 상상도 못하던 대접이었다. 그래서 이들은 아아예 일본성(姓)으로 바꾸고 일본인
으로 살아갔던 것이다. 그 후손들은 더이상 조선인이 아니다. 다만, '한국계 일본인'으로 대를 이어
살아가는 것이다. 노동에는 생산의 만족이 있고, 예술에는 창작의 기쁨이 있다. 좋은 조건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면 거기서 한없는 희열을 느끼ㅓ게 된다. 좋은 노동조건, 좋은 창작여건은 기대만큼, 아니
그 이상의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일본으로 건너온 도공들이 이곳에 와서 성공적으로 가마를 열 수 있
었던 데에는 좋은 노동조건과 장인으로서 전문가 대접을 받았다는 배경이 있다. 그리고 일본에
서는 좋은 도자기에 대한 열망이라는 소비문화가 뒷받침되었다. 그것이 결국 일본이 세계 도자시장을
석권하는 힘이 되었다. - 책 176쪽 내용 중에서 -
'♣ 책을읽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0) | 2018.12.27 |
---|---|
처음처럼 (0) | 2018.12.13 |
청구회 추억 (0) | 2018.11.29 |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0) | 2018.11.27 |
산사 순례 (0) | 201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