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 날짜 :'18년 12월 27일
지은 사람 : 신영복
옮긴 사람 :
출판한 곳 : 돌베개
내용 요약 : 이 책은 그동안 ㅇㅇㅇ대학교에서 고전 강독이란 강좌명으로 진행해왔던 강의를 정리한 것
입니다. 녹취한 강의록이 인터넷 신문에 연재되기도 했습니다. 그 때문에도 여러 사람의 출판 권유
를 받기도 했습다만 필자가 이 분야의 전공자가 아니어서 미루어오다가 전공 교수 두 분의 검토를
거쳐 책으로 내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원래 교양 과목으로 개설
되었을 뿐 아니라 고전 강의라기보다는 오늘날의 여러 가지 당면 과제를 고전을 통하여 재구성해
보는 강의였습니다. 그래서 책 이름도 <강의>로 하였습니다. 강의 내용을 풀어쓴 것이기도 하고
또 당면 과제의 뜻을 강론한 것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고전을 읽는 방법이 일반적인 고전
연구서와 다르기 때문에 '나의 동양고전 독법'이란 부제를 달았습니다. - 책을 내며... 저자 -
강의 내용에는 '주역' '논어' '맹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한비자' 외 중국의 고전 등등...
끄적 끄적 : 2018 무술년도 얼마 남지 않은 지금, 나이와 비례하여 날짜도 같은 속도로 달린다고 하더니만
엊그제가 신년 첫 달 같았었는데 뚜렸하게 해 놓은 것 없고 기억에 남을 추억도 만들지 못한채 한 해
가 지나려고 한다. 그래도 위안을 삼는 것은 나를 비롯한 가족 그리고 나를 아는 분들이 건강하고 무
탈하게 이 한해가 지나가는 것에 감사할 따름이다. 년 말에 결산해 보면 년 초에 세웠던 신년 한 해의
실행계획 대비 실천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내 자신에게 조금 미안한 자책도 하지만, 젊은 열정을 갖고
정진하였던 그 시절과 비교할 만큼의 세월도 흘렀다라고 생각하며 자존감을 추켜 세우기도 한다.
새해에도 좋은 책을 많이 읽었으면 좋겠고, 항상 마음에 걸리는 미진한 외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
를 최소한 홀로 외국여행할 수준은 되도록 해야겠는데,,,하여 새해부터는 방법을 바꿔보자, 책을 읽되
읽는 것으로 끝내자. 지금처럼 흔적을(기록을 끄적거림)남기지 말고, 그 시간에 외국어 숙어 하나 더
외우자. 이왕에 덧붙여 말하면 책을 읽고난 후 그 중에 기억에 남겨 둘 좋은 내용을 메모처럼 기록하
여 잊혀질만하면 되새겨 보려 했던 것인데, 핑계같지만 시간적 부담은 물론이거니와 글쓰기를 전혀
공부하지 않은 내겐 더욱 큰 스트레스를 안겨준 것이 사실이었다. 2019 기해년 새해에는 홀가분 하게
외국어에 전념하자.
내용 중에 : 다음 구절은 곡속장觳觫章의 일절입니다. 원문을 다 싣기에는 너무 길어서 앞뒤를 자르고 가운
데만 살려서 실었습니다. 앞뒤로 잘린 부분에 관한 이야기를 먼저 하지요.
(맹자가 선왕에게 말합니다) 신은 '호흘'이라는 신하가 한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언젠가 왕께서 대
전에 앉아 계실 때 어떤 사람이 소를 끌고 지나갔는데 왕께서 그것을 보시고 "그 소를 어디로 끌고 가
느냐?" 고 물으시자 그 사람은 "흔종에 쓰려고 합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오왕께서 "그 소를
놓아주어라. 부들부들 떨면서 죄 없이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모습을 나는 차마 보지 못하겠다." 하셨습
니다. 그러자 그 사람이 대답했습니다. "그러면 흔종 의식을 폐지할까요?" 그러자 왕께서는 "흔종을
어찌 폐지할 수 있겠느냐. 소 대신 양으로 바꾸어라"고 하셨다는데 그런 일이 정말로 있었는지 모르겠
습니다.
이것은 맹자가 '불인인지심' 不忍人之心이 제선왕에게 있는지 확인하려는 것입니다. (- - - - - - - -)
여기서 맹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것은 무엇입니까? 이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것은
동물에 대한 측은함이 아닙니다. 분문에 밝히고 있듯이 측은함으로 말하자면 소나 양이 다르 바가 없
습니다. 소를 양으로 바꾼 까닭은 소는 보았고 양은 보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가장 핵심적인
인 것은 '본다'는 사실입니다. 본다는 것은 '만난다'는 것입니다. 보고(見), 만나고(友), 서로 안다(知)
즉 '관계' 를 의미합니다. (- - - - - -) 나는 우리 사회의 가장 절망적인 것이 바로 인간관계의 황폐화
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라는 것은 그 뼈대가 인간관계입니다. 그 인간관계의 지속적 질서가 바로 사회의
본질이지요. 지속성이 있어야 만남이 있고, 만남이 일회적이지 않고 지속적일 때 부끄러움(恥)이
라는 문화가 정착되는 것입니다. 지속적 관계가 전제되될 때 비로소 서로 양보하게 되고 스스로 삼가게
되는 것이지요. 한마디로 남에게 모질질게 할 수가 없는 것이지요. 지속적인 인간관계가 없는 상태에서
는 어떠한 사회적 가치도 세울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곡속장을 통하여 반성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우리의 현실입니다. 맹자는 제선왕이 소를 양으로 바꾸라고 한 사실을 통해 제선왕에게서 보민 保
民의 덕 德을 보았던 것입니다. - 책 234쪽 ~ 242쪽 내용 중에서 -
어느 날 장주裝周가 나비가 된 꿈을 꾸었다.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되어 유유자적 재미있게 지내면서
도 자신이 장주임을 알지 못했다. 문득 깨어보니 장주가 되었다. (조금 전에는) 장주가 나비가 된 꿈을
꾸었고 (꿈에서 깬 지금은) 나비가 장주가 된 꿈을 꾸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장주와 나비 사이에 무슨
구분이 있기는 있을 것이다. 이를 일컬어 물화物化라 한다.
장자를 몽접주인 夢蝶主人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이 '나비 꿈' 때문입니다. 장자 사상을 대표하는 것
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비 꿈'은 인생의 허무함니나 무상함을 이야기하는 일장춘몽의 이야기가 아닙
니다. 장자의 '나비 꿈'은 두 개의 사실과 두 개의 꿈이 서로 중첩되어 있는 매우 함축적인 이야기입니
다. 첫째는 장자가 꾸는 꿈이며 둘째는 나비가 꾸는 꿈입니다. 이 두개의 꿈은 나비와 장자의 실재 實
在가 서로 침투하고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이것은 9만 리
장공 長空을 날고 있는 붕새의 눈으로 보면 장주와 나비는 하나라는 것이지요. 장주와 나비만 이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인식하는 개별적 사물은 미미하기 짝이 없는 것이지요. 커다란 전체의 미미한 조
각에 불과한 것이지요. - 책 345쪽 내용 중에서 -
'♣ 책을읽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잘먹고 줄 잘 댄다고?…옛날 영업 하시는군요 (0) | 2019.05.12 |
---|---|
性의 진화…아름다움 찾는 암컷, 아름다움 좇는 수컷 (0) | 2019.04.24 |
처음처럼 (0) | 2018.12.13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일본편 1 규슈) (0) | 2018.12.11 |
청구회 추억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