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을읽고 ♣

노는 만큼 성공한다

달컴이 2018. 2. 17. 22:07

 

 

 

 

 

 

 

 

 

   읽은 날짜 :'18년 2월 17일    

                                                     지은 사람 : 김정운                                                                             

                                                               옮긴 사람 : 

                                                               출판한 곳 : 21세기북스

 

                     내용 요약 : 저자는 우리의 진짜 문제는 경제가 아니라 삶의 재미가 없는 집단 심리학적 질병, 즉 놀면 불안해

                              지는 병'이 진짜 문제라는 것이다. 여가문화라고는 폭탄주와 룸싸롱을 빼면 상상하지 못하는 한국인 내면

                              의 심리하구조 밑바닥에는 행복과 재미에 대한 이중적 태도가 깔려있다고 분석한다. 그러한 한국의 천박

                              한 여가문화는 결국 개인은 물론 국가경쟁력의 발목을 잡는다는 것이다.                        그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 중시되는 창의성은 심리적으로 재미와 동의어라고 정의한다. 이 책은 잘 노는 사람이 창의적이

                              고 성공한다는 막연한 주장을 다양한 문화심리학적 개념들을 통해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준다. 

 

                      끄적 끄적 : 무술년 설날 연휴 나흘 중에 하루를 남겨두고 있다.  이렇게 노는(쉬는) 날이 서 너 날 이상인 경우

                              어떻게 잘 노느냐(휴일을 잘 지내느냐)를  연휴되기 전부터 고민(스케듈 수립)할 정도로 노는 방법에 대하

                              여서는 상당히 뒤떨어진 나는 친구들 호출이 없으면 기껏해야 가까운 곳 산책이나 책 읽기 정도로 시간을

                              보내곤 한다.  달리 표현하면 등산, 독서 외에는 특별한 취미(즐거움)를 갖지 못한 나는,  친구 또는 지인으

                              부터 골프, 당구, 테니스, 수영, 몸으로 하는 스포츠 취미를 비롯하여 악기를 다루는 음악, 등 모임에 참석

                              제안을 받을 때엔 무척 난감한 것은 물론 평소에 관심이 적었던 내 자신의 지난 일이 후회가 될 때도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이렇게 얘기한다 "사는 게 전혀 재미 없는 사람이 창의적일 수 없는 일이다. 성실하기

                               만 하는 사람은 21세기에 절대 살아남을 수 없다. 세상에 갑갑한 사람이 근면 성실하기만 한 사람이다. 물

                               론 21세기에도 근면 성실은 필수가결한 덕목이다. 그러나 그것만 가지고는 어림 반 푼어치도 없다. 재미를

                               되찾아야 한다. 그러나 길거리에 걸어다니는 사람들의 표정을 한번 살펴봐라. 행복한 사람이 얼마나 되나.

                               모두들 죽지 못해서 산다는 표정이다." 라고 우리 국민들은 사는 재미(노는 재미)보다는 근면 성실에 사람

                               삶을 평가와 성공의 기준으로 삼고 있고, 그 중압감에 눌리고 벗어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의 표정이 어둡

                               다는 것이다.              일에 대한 능력을 법적으로 인정받는 한계점에 도달한 나이에 들어선 내가  곰곰히

                               지금 내 주위 친구들을 예를들어 본보기로 비교하여 보면,    근면 성실과 함께 타인과 정서공유는 물론 잘

                               놀 줄도 아는 친구들이 정말 재미나게 살고 있음을 깨달게되었고 아울러 저자의 의견이 맞는 것 같고...

                               무술년 새해,,, 지금까지 해왔던 일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일,,,  일도 잘 하고,  노는 것도 재밌도록 하자  

 

                     내용 중에 : 자신이 불행하다는 오버싱킹에 빠져 있는 사람일수록 다른 사람과의 비교에 목숨을 건다. (-------)

                              그럼 도대체 어떻게 해야 오버싱킹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정말 중요한 일에 몰입하면 된다. 여기서 정

                              말 중요한 일이란 자기가 정말 재미있어 하는 일을 뜻한다. 이렇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당황해 한다. 재미있

                              는 일이 중요한 일이라니? 이렇게 묻는 이들에게 나는 되묻는다. 아닌가? 자기가 정말 재미있어 하는 일만큼

                              중요한 일이 또 어디 있겠는가?             삶의 중요한 목적은 내가 행복해하고 재미있어 하는 일을 발견하는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우리는 평생 주어진 의무를 다하며 그저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견디는 삶을 살

                              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보다 중요한 것이 있는 것처럼 착각한다. 삶의 목적이 되는 행복과 재미

                              를 추구하면 뭔가 죄의식을 느낀다. 잘못된 생각이다. 모두 먹고살기에 급급했던 시절이 남긴 피해의식이다.

                                                                                                                                            - 책 73쪽 내용 중에서 - 

                              나는 '남의 돈을 따먹기' 위해 일하는가.  아니면 내 만족을 위해 일하는가? 내 삶은 무엇을 얻기 위한 삶인가.

                              아니면 내 만족과 행복을 추구하는 삶이인가? 

 

                              사람들에게 유난히 사랑받는 사람들은 정서공유를 잘한다. 남의 기쁨, 슬픔, 우울함, 흥분과 같은 정서를 아주

                              잘 공유해준다.   우리는 상대방의 표정, 눈짓, 몸짓, 목소리를 통해 그 사람이 내 정서를 송유하는지 아닌지를

                              동물적인 감각으로 느낀다. 우리는 아주 어릴 때 엄마와 놀면서 이 정서공유의 방식을 몸으로 익혔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 주위에는 단지 몇 분을 마주했다는 이유만으로도 온종일 우울하게 하는 사람이 있다. '우울하게 하는

                              사람' 이란 표현은 너무 점잖다. 보다 적나라한 표현을 쓰자면 온종일 '재수 없게 만드는 사람'이다. 나에게 아

                              무런 피해를 입히지도 않았다. 어떤 기분 나쁜 이야기를 한 적도 없다. 그저 단지 내 앞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괴롭게 만드는 사람이다.                                  물론 이런 사람은 대부분 알고 보면 무척 좋은 사람이다.

                              그러나 이유 없이 남에게 기피대상이 되는 사람이다. 무척 불행한 사람이다. 정서공유의 기술이 없는 까닭이다.

                              상대가 가볍게 웃는 표정을 지으면 함께 웃으며 받아 넘길 수 있는 정서공유의 능력이 없다. 앞에 있는 사람의

                              슬픔을 공유한다는 몸짓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이다. 우리 주위에는 이런 정성공유의 방식이 무지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 특히 사회적으로 성공했다는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정서공유의 문제가 많이 발견된다

                                                                                                                                               - 책 169쪽 내용 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