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을읽고 ♣

한글 금강경

달컴이 2014. 2. 19. 21:04

 

 

 

 

 

 

 

        읽은 날짜 :'14년 2월 19일

                                                                지은 사람

                                                                옮긴 사람 : 우룡 스님

                                                                출판한 곳 : 효림

                      

                      내용 요약 : 현재 우리가 접하고 있는 금강경은 '구마라습' 이라는 인도 스님이 산스크리트어(인도 고유

                             고급어)를 한문으로 번역한 책이다. 전부 5천여 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교사상의 핵심인 '반야

                             (般若)를 통한 공(空)의 세계'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금강경은 모두 32분으로 되어 있는데 소명태자(昭明太子)가 금강경의 문단을 32분으로 나누었으며

                              크게는 상, 하 2권으로 되어 있다                                                           - 책에서 옮겨 온 글 -

 

                      끄적 끄적 : 불교신자인  어머님께서는 일 1회 이상 '금강경'을 독송하신다.

                              아마도  당신은 책을 안 보고 줄줄 염불 하듯 읊으실 것이다.
                              그런 분이 아들에게 '금강경'을 읽어보라 권유하여,  우선 '금강경'이란 어떤 내용인가 궁금하였다.
                               한글로 풀이한 것인데도 내 수준에는 버겁다.    선문답 같은 내용으로 수박 겉핱기와 같이 읽었다.

                               더 쉽게 설명한 책을 읽어 봐야겠다. 

 

                      내용 중에 : 또 수보리여,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지니고 독송하면서도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하면,

                               이 사람은 전생의 죄업으로 마땅히 악도(惡道)에 떨어질 것이로되, 금생에 업신 여김을 받는 까닭으

                               로 전생의 죄업이 곧 소멸되어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여, 내가 과거의 헤아릴 수 없는 아승지겁을 생각해보니, 연등불을 뵙기 전에 팔백사천만억

                               나유타 수의 많은 부처님을 만나 모두 다 공양하고 받들고 섬기어 헛되이 지냄이 없었느니라.  그런

                               데 어떤 사람이 있어 앞으로 오는 말세에 능히 이 경을 받아지니고 독송을 하면, 내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그 공덕의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천만억분의 일 내지 숫자의 비유로는

                               도저히 미칠 수가 없느니라.

                                   수보리여,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앞으로 오는 말세에 이 경을 지니고  독송함으로써 얻게 되는 공

                               덕을 다 갖추어 말한다면,  혹 어떤 사람은 듣고 마음이 산란해져서 여우처럼 의심하고 믿지 않을 것

                               이니라. 수보리여, 마땅히 알아라. 이 경은 뜻도 불가사의하며 그 과보도 또한 불가사의 하니라.

                                                                                                                    - 능정업장분 (能淨業障分) 제십육 -

 

                               수보리여,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온다거나 간다거나 앉는다거나 눕는다' 고 한다면 이

                               사람은 내가 설한 바 뜻을 알지 못함이니라. 무슨 까닭인가?  여래는 어디로부터 오는 바도 없고, 또

                                한 어디를 향하여 가는 바도 없기 때문에 여래라 이름하느니라.

                                                                                                                 - 위의적정분 (威儀寂靜分) 제이십구 -

 

 

 

 

 

 

 

'♣ 책을읽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핵심강의  (0) 2014.03.04
다윗과 골리앗  (0) 2014.02.26
아빠는 무조건 살아 남아야한다.  (0) 2014.02.17
유엔미래보고서 2040  (0) 2014.02.15
경영학보다는 소설에서 배워라  (0) 201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