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을읽고 ♣

경영학 콘서트

달컴이 2012. 12. 17. 19:55

 

 

 

 

 

 

 

읽은 날짜 :'12년 12월 17일

                                                            지은 사람 : 장 영재

                                                            옮긴 사람

                                                            출판한 곳 : 비지니스북스

 

                   내용 요약 : 미국에서 10만 원짜리 책이 한국에 오면 4만 원인 까닭, 항공권을 일찍 구입하면 더 싼 이유는,

                            적립카드 한 장 발급받는데 연봉을 묻는 까달가, 카지노와 보험회사는 어떻게 돈을 벌까? 10개의 테이

                            블에서 300명이 아침식사를 할 수 있는 식당 등 공짜 티켓의 원리부터 글로벌 기업의 경영전략까지 알

                            다가도 모를 일상과 복잡한 세상을 지배하는 현대 경영의 놀라운 그 실체를 저자가 MIT 경영대학원에

                            서 배운 경영의 이론과 함께 기업의 경영 현장에서 직접 겪은 경험을 생생하게 녹여 정리한 글로서 사

                            람의 감성적이 아닌 과학적 (수학 통계적)인 경영방식을 제시한다.

 

                     끄적 끄적 : 어떤 대상, 예를 들어 육상에서 마라톤 경기 100미터 단거리 달리기 또는 수영 등 세계적 기록

                             을 경신한다는 것이 과거에는 사람의 체력 또는 반복적인 훈련에 의존하여 신기록이 탄생되었다.  하

                             지만 지금의 최고 기록경신은 기본적인 체력과 더불어 과학적인 훈련과 분석을 통하여 경기의 승패가

                             좌우되는게 요즈음 스포츠계의 일반상식이라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하물며 이익을 창출해야할 기업이 감에 의존하는 구시대적 경영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한다는 것은 회

                             사를 책임 운영하는 대표를 포함 보좌하는 임원의 무지라고 하겠다. 그러나 아직도 그러한 곳이 많다

                             는 것이다.   책 내용 중에도 있지만  조금만 경기가 안 좋으면  제일 먼저 사원 복지를 줄이고 급여를

                             삭감한다. 그것이 제일 쉽게 할 수 있는 경영자의 한계성 이므로,  그리고 예전 새마을 운동처럼 아침

                             회의는 무조건적으로 매일 실시한다.  도요다처럼 마른수건도 짜면 한 방울 물이라도 나온다는 생각을

                             경영철학처럼 고수하며 과학적이고 합리성보다는 감성이 우선하는 경영자가 세계 10위권 가까이 경제

                             발전을 이룬 우리나라에 아직도 개발도상국 관리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곳이 많다고 본다.

                             책 내용처럼  데이타가 없는 경험이나 '감'에 의존하는 감성 경영의 시대는 지났다. 또한 사람 의지에

                             기대어 감정에 좌우되는 관리방식도 급변하는 글로벌시대에는 물론 적합하지 않다. 즉 시스템적인 관

                             리방식이 필요한 것이다.  예로 들면, 은행에서 대기표 없이 은행업무를 볼 수없도록하는 것처럼 시스

                             템을 준수하지 않으면 불이익 또는 다음 업무가 진척이되지 않는 ( 하지않으면 안되는 )   시스템공학

                             과 함께  과거와 현재 진행중인 데이타를 잘 활용하여 향후를 예측 대처할 수 있는 통계적관리 경영이

                             요구되는 과학경영의 시대가 되었다. ( 달컴이 생각 )

 

                   내용 중에 : 기업은 경제환경이 어려워지면 '비상 경영'이라는 미명 아래 허리 졸라매기에 들어간다. 아쉽게

                            도 많은 기업들은 비상 경영의 첫 번째 희생물로 직원 복지를 지목한다. 1997년 외환위기 때나 2008년

                             에 엄습한 이른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도 많은 기업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가장 먼저 실시한 일

                             은  ~~~ 단기간에 직접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 직원 복지와 관계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기업들은 직원

                             들에게 고통 분담을 호소하기 전에  먼저 자원의 배분이 과학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 꼭 한 번 살펴보

                             아야 한다. 올바른 계산 하나가  수백 명의 직원이  사용하는 구내 식당과 사내교육을 폐지하지 않아도

                             될 방법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이것이 바로 과학으 힘이다.                                - 책 327 쪽에서 -

 

                             수학을 이용한 모델이 아무리 정확하고 견고하더라도 모델이 전제로하는 가정이 틀렸다면 그것은 무

                             용지물로 전락하고 만다. 물론 수학 모델을 만드는 이들은 누구보다도 이 가정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

                             고, 가정이 무너졌을 경우의 파장 또한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들 또한 사람인지라 늘 완벽한 가정을

                             세우지 못한다.

                                수학과 과학은 사용하기에 따라 인류를 파멸시키는 원자폭탄과 같은 무시무시한 무기를 창조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을 살리고 그들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사용하느냐다.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 사태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도 퀀트들이

                             고안한 투자 방식이나 금융상품 그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전 의장이었던 앨

                             런 그린펀스는 한때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저소득층의 주택 마련을 실현한 현대 과학의 찬란한 유산이

                             라고 칭송하기도 했었다. 또한 1980년대 이후 퀀트들이 고안한 금융 상품으로 투자 위험 대비 수익률

                             비율이 명확해졌고 금융시장 전체에 저금리를 통한 투자 효용 증대를 실현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었

                             다. 그러나 규제가 안 되고 방치된 상품과 방법이 잘못된 손에 잡히는 순간, 이는 파멸을 초래할 수 있

                             는 무기로 변했던 것이다.                                                                            - 책 354 쪽에서 -

 

                             현대 경영에서는 사람과 감성의 영역인 인문적 요소와 분석과 계산이 필요한 과학적 요소 이 두가지

                             요소가 존재한다. 이 둘은 현대 경영을 지지하는 두 개의 주춧돌로 어느 하나라도 간과할 수 없다. 어

                             쩌면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 경제를 견인하고 국가 경제를 이끈 기업의 힘이 이 첫 번째 주춧돌이었다

                             면,  앞으로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에 초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두 번째 주춧돌인 과학에

                             무게를 실어줄 때가 아닐까 한다.                                                                   - 책 362 쪽에서 -